[포토 리포트] 힐링 일리노이 - 한인 역사와 문화, 세대를 연결하다

사진, 글: 박원정 PD

미주 한인의 역사와 문화, 세대를 잇는 특별한 행사가 시카고에서 열렸다.

시카고한국전통예술원과 미중서부한국학교협의회가 공동 주최한 ‘한인 이민자 이야기 – 힐링 일리노이’가 19일 시카고한인문화원 비스코홀에서 개최됐다.

이 행사는 일리노이 복지부가 인종 및 사회적 화합을 위해 기획한 ‘힐링 일리노이(Healing Illinois)’ 프로그램의 일환으로 열렸다. 공동 주최한 두 한인 기관 포함 총 204개 기관이 참여하고 올해 450만 달러 규모의 예산이 투입된 대규모 주(州) 차원의 프로젝트이다.

김병석 시카고한국전통예술원 대표는 개회사에서 “장벽을 허물고 다리를 놓는 행사”라며 “우리의 이야기를 나누고 세대 간 연결을 도모할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하게 되어 매우 기쁘다”고 말했다.

기조연설은 할리 김 레익카운티 재무관이 맡았다. 그는 “처음부터 위대한 정치가가 되려던 건 아니었다. 애완용 닭 사육 허가를 받기 위한 운동이 정치 활동의 시작이었다”며 자신의 정치 입문기를 소개한 뒤 “더 많은 평범한 사람들이 공직에 나서야 우리 모두가 바라는 미국을 만들어갈 수 있다”고 강조했다.

할리 김 레익카운티 재무관

행사에서 큰 비중을 차지한 것은 ‘청소년 역사 컨퍼런스’였다.

예선을 통해 선발된 16개 한인 청소년팀들이 지난해 발간된 ‘청소년을 위한 미주 한인사’ 교재를 기반으로 직접 기획한 역사 프리젠테이션을 선보였다.

올해로 2회 째를 맞은 본 프로그램에는 시카고에서 샴페인, 세인트루이스, 미네소타에 이르기까지 총 11개 한인 교육기관 소속 청소년 67명이 참가했다. 참가 학교는 ▲그레이스무궁화 한국학교 ▲글렌브룩노스 고등학교 ▲대건 한국학교 ▲드림 한국학교 ▲미네소타한인회 한국학교 ▲불타 한국학교 ▲샴페인푸른나무 한국학교 ▲세인트루이스 한국학교 ▲에임즈 한국학교 ▲포도원 한국학교 ▲하상 한국학교 ▲KCC한국사랑 한국학교 등이다.

각 팀의 대표들의 ‘또래 평가’

한지은 미중서부한국학교협의회 회장은 환영사에서 “청소년을 위한 미주 한인사 교재를 집필하면서 꿈꿔왔던 것이 오늘 같은 장면”이라며 “청소년들이 자신이 누구이고 어디에서 왔는지, 지금의 나를 있게 한 사람들과 환경이 무엇이었는지 이해하고, 자신을 긍정하고 자신감을 가지며 미래를 향해서 큰 걸음을 걸어 나갈 수 있는 자리를 마련했다”고 취지를 설명했다.

프리젠테이션

이어진 패널토론에선 한인 커뮤니티의 세대 간 소통과 정체성에 대한 진지한 성찰이 이어졌다.

한인 1세, 1.5세, 2세, 청소년, 피입양인 등 다양한 배경을 가진 인사들이 각자의 경험과 시선에서 사회 이슈를 풀어냈다.

패널은 앤드류 홍 교사, 줄리 도르 상담가, 단애 코박 모 단체의 대표, 안종현 변호사, 김한결 군 등 5인이며, 진행은 고은경 교수가 맡았다.

패널토론

행사 후반에는 시카고한국전통예술원의 지도로 참석자들이 장구, 꽹과리, 북 등 한국 전통 타악기를 직접 배우고 함께 연주하는 특별한 시간이 마련됐다. 참가자들은 악기를 손에 쥐고 장단을 맞추며 자연스레 하나가 되었다.

문화 체험을 통해 세대를 초월한 화합을 이끌어낸 이 순서는 전통문화가 커뮤니티 내 소통의 중심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의미 있는 모습이었다.

함께 풍물은 연주하는 참가자들

행사의 마지막은 ‘청소년 역사 컨퍼런스’ 수상팀 발표로 장식됐다. 영예의 1위는 샴페인 푸른나무 한국학교 소속의 ‘뿌리깊은나무’팀이 차지했다.

‘뿌리깊은나무’는 제2차 세계대전과 한국전쟁에 참전하며 미국 내 아시아계 군인의 위상을 높인 한인 김영옥 대령을 조명하는 프리젠테이션을 발표했다.

[우승 팀 멤버들의 소감: 이재현 – 역사를 좋아하는 사람으로서 김영옥의 역사는 매우 흥미로웠다. / 옐리나 – 이 프로젝트는 재밌었고 김영옥에 대해서 배우는 것이 즐거웠다. / 에릭 신 – 친구들과 락인(Lock-In)까지 하며 완성할 수 있어서 성취감이 있었다. / 줄리아 민 – 김영옥은 자신의 정체성에 대해 당당했다. 그를 본받고 싶다.]

이번 ‘한인 이민자의 이야기 – 힐링 일리노이’는 미국 중서부 한인의 다양한 세대와 계층을 아우르며 공동체의 뿌리를 되짚고 미래를 함께 꿈꾸는 뜻깊은 자리였다.

1위 수상팀 샴페인 푸른나무한국학교 ‘뿌리깊은나무’팀과 수여자 시카고한국교육원장
비스코홀
패널 토의
행사가 열린 시카고한인문화원

관련있는 뉴스매거진의 보도